라이노 단축키 정리(2) - 자주사용하는 단축키 정리
2020.12.29 기준 변경사항
-
기존의 z, ze를 제가 올린 스캐치업 단축키와 혼동되지 않게 조정했습니다.
-
Zoom의 경우 드레그의 과정이 들어가는 것을 고려해 zd로 했습니다.
-
Zoom _All _Extents의 경우 마우스 오른쪽 더블클릭으로도 가능합니다!
-
ver -> xs (x select 라는 생각으로 xx와 연계해서 쓰기 위해 바꿨습니다.)
-
ve -> hh (선택하지 않은 객체를 hide로 hh가 이해하기 편해 변경합니다.)
-
vv -> vp (직관적으로 perspective를 나타냅니다.)
-
sw -> sh, sw, s (show 명령)
-
s ('_snap) -> 제거
-
cc (closecrv) -> 제거
-
ss (planarsrf) -> 제거
-
sws -> ss (showselected의 활용도가 높아서 ss로 수정했습니다.)
-
sev -> 제거
-
ro3d -> r3 (명령어 단순화)
-
ol -> aa
-
sellayer invert hide를 cc로 저장(캐드에서 Layiso 명령을 xx로 하기 때문에 비슷한 명령이라서 추가했습니다.)
-
ml -> ma (캐드에서 ma기능과 비슷해서 변경했습니다. 주의할 점은 캐드와 순서가 반대입니다. 바꿀 개체선택 후 바꿀 레이어 개체 선택합니다.)
-
selprev 추가 -> ap 단축키 제거 -> sd로 설정 (자주 사용하는 sellast와 키보드가 근접하게 했습니다.)
위의 기록들은 안보셔도 상관없습니다. 제가 변경한 기록을 위해 남겨두었습니다.
[ 자주 사용하는 동작 관련 명령어 ]
zd | '_Zoom | 드레그 하는 영역으로 확대 |
z | '_Zoom _Extents | 작업 영역으로 확대 or 축소 |
zz | '_Zoom _All _Extents | 작업 영역으로 모든 뷰포트를 확대 or 축소 |
zs | '_Zoom _Selected | 선택된 개체로 확대 |
zsa | '_Zoom _All _Selected | 선택된 개체로 모든 뷰포트를 확대 or 축소 |
x | explode | 개체 면 분할 |
xf | setdisplaymode m x | x-ray 뷰로 전환 |
axf | setdisplaymode v m x | x-ray 뷰로 모든 뷰포트 전환 |
wf | setdisplaymode m w | wireframe 뷰로 전환 |
awf | setdisplaymode v m w | wireframe 뷰로 모든 뷰포트 전환 |
sf | setdisplaymode m s | shaded 뷰로 전환 |
asf | setdisplaymode v m s | shaded 뷰로 모든 뷰포트 전환 |
rf | setdisplaymode m r | render 뷰로 전환 |
arf | setdisplaymode v m r | render 뷰로 모든 뷰포트 전환 |
gf | setdisplaymode m g | ghosted 뷰로 전환 |
agf | setdisplaymode v m g | ghosted 뷰로 모든 뷰포트 전환 |
w | maxviewport | 4개 뷰포트 보이기 (토글 적용) |
va | plan | 0, 0 좌표를 뷰포트 가운데로 정렬 |
vp | setview w p | perspective view로 바꿈 |
vt | setview w t | top view로 바꿈 |
vr | setview w r | right view로 바꿈 |
vf | setview w f | front view로 바꿈 |
vl | setview w l | left view로 바꿈 |
xs | invert | 선택되지 않은 객체 선택하기 |
h | hide | 숨기기 |
hh | _invert _hide | 선택개체 제외하고 숨기기 (layer와 관계 없이 isolate) |
sw, sh, s | show | 숨겨진 객체를 보이기 |
re, spacebar, RMB 더블클릭 | redo | 이전 명령 실행 |
ss | showselected | 숨개진 객체만 isolate ->unhide할 객체 선택 |
aa | sellayer | 레이어 선택 -> 같은 레이어 객체 모두 선택 |
as | selast | 마지막 작업했던 객체 선택 |
sd | selprev | 마지막 선택했던 객체 선택 |
vv | OneLayerOff | 선택된 객체의 레이어를 끄기 (캐드 layoff 기능) |
xx | sellayer invert hide | 선택된 레이어 선택 창 -> 선택한 레이어만 남기고 hide (캐드 layiso 기능) |
cc | changelayer | 객체 선택 -> 레이어를 선택 창 활성 -> 객체의 레이어 변경 |
ma | matchlayer | 다른 개체와 일치하도록 개체의 레이어를 변경합니다. |
changetocurrentlayer | 선택한 객체를 current layer로 바꿈 | |
ctrl+shift+1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Default") | 기본 레이어를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1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1.slab")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2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2.column")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3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3.beam")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4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4.wall")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5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5.roof")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6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6.window")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7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7.door")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8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8.furniture")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ctrl+9 | -_RunScript ( Rhino.CurrentLayer "9.site") | 현재 레이어로 변경 |
[ 자주 사용하는 개체 생성, 수정 명령어 ]
l | polyline | 폴리라인 생성 |
v | curve | 커브 생성 |
e | delete | 삭제, 제거 |
c | copy | 복사 |
u | ungroup | 그룹해제 |
g | group | 그룹 |
rg | removefromgroup | 그룹안에 있던 개체를 선택하여 그룹에서 분리시킴 |
t | text | 텍스트 개체 생성 |
sec | section | 개체를 통해 정의된 절단 평면을 교차하여 평면형 커브 또는 점 생성 |
st | split | 겹치는 부분들 잘라서 객채를 분리하기, 다른 개체를 절단기로 사용하여 개체를 부분으로 나눕니다. |
rsf | plane | plane 생성 |
r, ro | rotate | 개체 회전 |
r3 | rotate3d | 개체 3차원 회전 |
rec | rectangle 3 | 3개 포인트로 사각형 생성 |
recc | rectangle c |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각형 생성 |
recv | rectangle v | 직사각형 수직으로 그리기 |
p | pipe | pipe 생성 |
tr | trim | 자르기 |
f | fillet | 모따기 |
j | join | 결합시기키 |
sc | scale 1d | 한 개 축으로만 스케일 조정 |
d | dimaligned | 모서리에 aligned된 치수선 생성 (캐드의 dli 기능) |
di | distance | 포인트사이 거리 측정 |
ext | extrude crv | 커브 돌출시켜 입체로 만들기 |
lo | loft | 커브연결 서피스생성 |
ps | planarsrf | 서피스 가장자리를 정의하는 평면형 커브로 평면형 서피스 생성 |
o | offset | 간격 띄우기 |
os | offsetsrf | 면 간격 띄우기 |
m | move | 이동시키기 |
mi | mirror | 거울처럼 개체를 복사 붙여넣기 |
at | patch | patch 실행 |
ar | array | 배열 실행 |
제가 학교설계에서 스캐치업을 주로 썼어서 혹시 이 외에도 건축에 자주 쓰이는 명령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위의 표는 엑셀로 넣어 두었습니다.
'[ Study ]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문화역 (0) | 2021.09.07 |
---|---|
Grasshopper Interface 해부하기 (0) | 2021.02.15 |
캐드 프로그램 세팅 및 단축키 (0) | 2021.02.15 |
(1) Sketchup 단축키, plugin 정리 (0) | 2021.02.15 |
라이노 단축키 정리(1) - 2020.12.28 기준 (2) | 2021.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