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tudy ]/디자인

디자인 공부 방법

by Yoo Kim 2021. 2. 15.

디자인 공부 방법

  • 항상 디자인에 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대학교에서는 가르쳐주지도 않고 그냥 스터디해라 라는 말로 학생들에게 밤샘을 유도하고 노력을 안한 것처럼 되고, 선의의 경쟁이 아닌 정보의 싸움으로 실력차가 점점 벌어져 간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책을 찾아보기도 하고 했지만 개인적으로 기록을 남기지 않아서 저에게 체화되지 않아서 그렇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디자인에 대한 방법이나 생각을 글로 적으려고 합니다.
  • 건축은 편집 실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포장하느냐에 따라서 그럴싸해보이고 별로이고의 차이가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학생인 저의 경우 여러 대학생 작품들을 봐왔지만 건축이라는 학문자체가 마감시간까지 혼자서 고려사항들을 모두 작품에 적용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을 하면서 효율적인 표현을 하는 방법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핀터레스트, 아키데일리, 참고자료의 활용법 ]

  1. 단순히 유사 이미지를 타고 들어가면서 눈높이를 높여 기대치를 높게 잡지 말자
  2. 검색하는 목적들을 정해 폴더 별로 분류한다.
  3. 나의 목적을 디테일하게 서술하는 txt 파일을 만든다.
  4. 이미지를 찾을 때 특정 목적들을 가지고 보면서 목적 폴더 별로 나누어 저장한다.
  5. 이미지 파일마다 파일명에 어떠한 부분에 관심이 있었고, 어떤 부분을 생각했는지 적는다.
  6. 텍스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문서나 특정 웹 페이지에 정리해 두고 이에 대한 나의 생각들을 정리한다.

    ex) 학교 건축 - 학교 건축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들 정리 후 나의 생각 대입
  7. 웹페이지의 경우 헤시태그를 걸어두거나 검색이 용이하게 설정해둔다.
  8. 각 목적 폴더들을 다시 재결합 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친다.
  9. 재결합 하는 과정을 통해 도출된 "나만의" 디자인 방법론을 정리한다. ex)Notion, Tistory, 등

[ 모작 및 모듈화 ]

  • 모작의 경우에는 패널의 표현력을 최대한 따라해보면서 얻을 수 있는 표현 방법, 사고의 과정, 시나리오 등을 정리해두어 커닝이 아닌 참고와 재결합의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 대학생 설계 프로세스, 설계사무소의 프로세스, 대형사무소의 프로세스를 참고하여 각 과정별로 필요한 Reference 폴더를 만들어 모듈화 하는 방법이 좋다고 생각이 듭니다. 저의 경우엔 인턴을 하면서 회사가 돌아가는 방식과 일하는 사람들의 하루 패턴 등을 보려고 노력합니다.
728x90

댓글